1. 웹 아키텍처
네이버 접속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해야할일? 웹 브라우저를 킨다
그런데 그것은 사용자의 입장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1. 서버켜기 // 클라이언트가 http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도록!
그럼 클라이언트가 http어쩌고 해서 접속을 했고 아이디랑 비번 입력한다.
2.웹프론트: data 발생하는 역할
html +css+ js
내가 아이디 비번 줬으니까 로그인/회원가입 시켜줘~~ with data~~ 요청을 한다.
회원가입/로그인/글보기/글쓰기 다 공통점? db사용
3.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합니다!
webserver는 http server라고도 한다. http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이다. = 클라이언트가 웹을 통해서 접속할수 있도록 해주는게 웹 서버이다.
근데 궁극적으로는 db와 연동을 해서 작업을 해야한다. 근데 웹 서버는
hyper text ...http프로토콜을 통해서 hypertext를 왔다갔다 하게할수는 있지만
서버쪽에 있는 db와는 연동을 하기 어렵다.
그래서 웹서버와 db사이에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하다.
Application Server: 웹서버와 RDBMS 연결
예전에는 웹서버와 application server가 완전 별도였다.
tomcat은 원래 원칙적으로는 applicationserver였다.(java를 돌릴수있는 application server)
그래서 예전에는 http서버와 tomcat을 따로 다운받아서 썼었다.
근데 지금은 tomcat하나로도 가능하다. was이다.
자바를 돌릴 수 있는 서버 tomcat
근데 요즘에는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was: web server + aplication server
WAS: 웹에서 java(서블릿- 웹에서 돌아가는 서버)가 돌아가도록한다
클라이언트(사용자): 데이터 발생 / 웹 서버: 웹을 통해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게 도와줌 (데이터 전송만 가능) / Application Server: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줌 => 요즘에는 둘이 합쳐서 WAS(Web Application Server)
그래서 톰캣은 http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고 data를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근데 data를 처리하려면 langauage가 필요하다. java라는 언어를 쓴다.
자바라는 언어를 돌릴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서버가 톰캣이다.
asp: ms계열 윈도우에서는 iis서버가 존재
php :
또 오라클에는 웹 로직이라는 서버가 있다.
티맥스에 제우스라는 서버도 있다..
톰캣은 무료인데 강력하다.
java가 해야하는 일은 3가지이다..!!!
- Presentation(결과): html로 만들기 / 화면에 보여야한다...화면 중 브라우저에 보여야 되니까.... html로 만들어야한다. 엄밀히 말하면 html뿐만 아니라 markup language이다.
서버하고 통신을 해서 서버가 나한테 뭐를 줘야돼 ajax처럼 xml이나 json으로 넘겨줄 수도 있고 html으로 넘겨줄 수도 있다.
2.data를 가지고 일처리를 해야한다..근데 일처리를 두개로 나눈다..일처리= logic=service
business logic: data 처리 /체크한거를 가지고 사칙연산을 하는 등....
persistence logic : DB와연동 / 회원정보를 가져와라
총 정리
server는 데이터 처리후 client에게 응답함
최종적으로 html으로 주어야한다...
server는 데이터 처리후 client에게 응답함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발생을 한다. 서버에 요청을 한다 서버는 일처리를 한다 결과를 서버가 응답한다.
'BackEnd > 백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7 - 백엔드 실습 (0) | 2021.10.10 |
---|---|
1007 백엔드 개념, 절대경로,상대경로 (0) | 2021.10.10 |
1007 서블릿 프로젝트2_방명록프로젝트 (0) | 2021.10.09 |
1007 서블릿 프로젝트1(helloservlet을 웹에 출력해보기) (0) | 2021.10.09 |
1007 서블릿(Servlet) 파일 생성하기 + 기본예제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