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가 점점 복잡해진다. EJB

기능은 좋지만 복잡한 환경때문에 스프링 framework 환경이 등장한다.

 

점차 Pojo + 경량 프레임워크 사용

특정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음

 

스프링프레임워크 = pojo + framework

즉 가볍다. di나 aop를 제공해준다.

 

우리가 설정을 하면 뼈대를 만들어준다. 

 


정리

스프링 

1. pojo : 특정 환경이나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은 객체지향 원리에 충실한 자바객체 ,, junit같은 스프링테스트(dao만 따로 테스트해본다던지) 가능

2. psa

3. loC/ DI : DI는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객체를 만들어 두고 객체 간으 ㅣ의존관계는 외부에서 다이나믹하게 설정

 

Main ( A) -> Service(B) -> Dao(C)라면

원래는 a에서는 new B , B에서는 new C이렇게 해서 썼다.. 근데 이제는 미리 D에서 c, b 다 만들어놓고 의존성까지 만들어둔다. 그러면 new B이런거 할 필요가 없다.

 

Dao에서 lookup해둔거는 해봤었다...

 

4. AOP

 


스프링은 블록을 합치는 것이다.

 

밑바탕에 초록색 판이 있는데 그게 기본이다.

Spring Core
Bean Factory (객체를 막 만들어두고 가져다 쓰게 만든 놈)

그리고 이 위에다가 DAo, Spring orm , Spring Aop , Spring Context, spring web 이런거 쌓아서 작동시키면 된다. 

 

설치할것은

jdk, tomcat, db 이다.

 

 

+ Recent posts